크롬의 새로운 아티팩트 “Media History” part 1
NEW Artifact of Chrome Browser Series
- Blog #18: NEW Artifact of Chrome Browser (Media History) part 1
- Blog #20: NEW Artifact of Chrome Browser (Media History) part 2
TL;DR
Media History Path
- Chrome: %USERPROFILE%\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Default\Media History
- Edge: %USERPROFILE%\AppData\Local\Microsoft\Edge\User Data\Default\Media History
- Chromium: %USERPROFILE%\AppData\Local\Chromium\User Data\Default\Media History
- Opera: %USERPROFILE%\AppData\Roaming\Opera Software\Opera Stable\Media History
- NAVER Whale: %USERPROFILE%\AppData\Local\NAVER\NAVER Whale\User Data\Default\Media History
Preface
약 한 달 전인 2020. 10. 6. Chrome 86버전이 릴리즈 되었다. 릴리즈된 새로운 버전에서는 Media History라는 이름의 아티팩트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그림 1. Chrome 86 Release Date
Media History는 이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에 대부분 공통적으로 적용되는데 크로미엄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웹브라우저는 Chrome, Edge, Opera, NAVER Whale 등 다양하다.
Media History는 영상 또는 음성과 같은 미디어 재생이력을 트래킹 할 수 있는 SQLite Database 형태로 되어있다. DB 파일 내부에는 미디어 재생 이력이 남는데 재생 이력에는 사용자가 방문한 URL부터 동영상의 재생 Position 정보, 제목, 최근 시청 일시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번 포스트 시리즈에서는 Chrome 브라우저의 Media History 테이블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몇 가지 테스트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남는 결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What is Media History Database?
우리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청하는 동영상은 홍보, 교육, 재미 등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런 동영상을 보기 위해 찾는 대표적인 사이트는 유튜브일 것이다.
크롬 브라우저를 통해 유튜브와 같이 영상뿐 아니라 노래를 재생할 수 있는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에 접속해서 노래를 듣게 되는 경우에도 기록이 남을 수 있다.
최근 1년의 크롬 브라우저의 점유율은 약 64%로 많은 사용자가 크롬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크롬 브라우저의 아티팩트 변화는 증거분석을 하는 입장에서 매우 고마운(?) 변화이다.
그림 2. Browser Market Share (Oct. 2019 - Oct. 2020)
(https://gs.statcounter.com/browser-market-share)
사실 내가 크롬의 새로운 아티팩트가 생겼다는 것을 접하고 가장 궁금했던 점은 따로 있었다. 예전부터 많이 있었지만 올해 이슈가 됐던 N번방, 박사방 등 디지털성범죄는 아직도 수사가 진행 중에 있다. (관련 뉴스)
특히 올해는 디지털성범죄 사건 관련하여 매체를 불문하지 않고 가장 많이 분석을 한 것 같다. 범죄와 관련된 사진, 동영상의 양은 정말 엄청날 정도로 많았다. 그중에 클라우드로 영상을 올리고 해당 링크를 메신저를 통해 공유되는 부분도 있어 영상을 스트리밍으로 볼 수도 있었다. 만일 이런 경우도 관련 기록이 남을지 궁금했다. 앞으로 디지털성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분명 혐의를 구증할 수 있는 좋은 아티팩트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File Location
Media History 파일의 위치는 크롬 브라우저의 History, Cookies와 같은 기존의 아티팩트가 존재하는 기존의 경로와 동일하다.
[경로]
1
%USERPROFILE%\AppData\Local\Google\Chrome\User Data\Default
그림 3. Media History 저장 경로
DB Table Overview
Media History DB 내부에 총 8개의 테이블이 존재한다. 그중 현재 의미가 있어 보이는 테이블은 ‘mediaImage’, ‘origin’, ‘playback’, ‘playbackSession’, ‘sessionImage’로 5개 정도이다.
그림 4. Media History DB Tables
8개의 테이블을 전체적인 틀만 파악해보면 나중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모든 테이블을 먼저 간단히 살펴보자. 테이블간 서로 연관되어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테이블간 연관성이 있다면 기초가 되는 테이블을 먼저 설명한다.
1. mediaFeed Table
크롬을 업데이트한 뒤 며칠이 지났으나 다른 테이블과 달리 이 테이블의 데이터는 아무것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림 5. mediaFeed Table
일단 테이블명이 mediaFeed로 되어 있고 컬럼 중 ‘user_status’, ‘user_identifier’과 같이 유저의 정보가 있는 것으로 보아 크롬으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남기는 데이터들을 모아놓은 테이블로 추측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
2. mediaFeedItem Table
이 테이블도 비어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번 테이블에서는 컬럼명을 잘 살펴보면 무언가 유추는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림 6. mediaFeedItem Table
컬럼명인 ‘name’, ‘author’, ‘date_published_s’, ‘is_family_friendly’, ‘content_rating’, ‘genre’, ‘tv_episode’, ‘play_next_candidate’만 살펴봐도 유튜브 영화, TV 시리즈 컨텐츠 서비스 관련된 테이블이라 생각할 수 있다.
앞선 테이블과 연관되어 향후 이 테이블을 활용해서 유저의 편의성, UX(User Experience)를 생각하는 것 같다. 그게 사업성이든 아니든 다시 한번 느끼지만 역시 구글은 구글이다.
3. mediaImage Table
동영상의 썸네일 URL이 기록되는 테이블이다. 처음에 URL을 보고 크롬에서 재생되는 모든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웹으로 올려서 관리하는 것인가라고 생각했으나 데이터를 확인해보니 URL 모두 “https://i.ytimg.com/vi”로 시작을 한다.
그림 7. mediaImage Table
ytimg는 youtube image를 줄인 단어로 유튜브는 YouTube Data API를 통해 동영상에 대한 정보와 썸네일을 예전부터 제공하고 있다. 그 썸네일이 저장된 URL이 DB 테이블 내 기록된 것이고 해당 URL로 접근하면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 재생한 동영상의 썸네일
현재 확인한 것은 유튜브 영상만 URL이 확인되고 일반 개인 블로그에 유튜브 영상을 삽입한 형태여도 URL 값이 남는다. ‘playback_origin_id’값을 통해 playback 또는 playbackSession 테이블에 기록된 영상 URL을 확인할 수 있다.
4. meta Table
meta 테이블에 딱 3개의 Row 데이터만 존재하는걸로 봐서 호환성, 버전 정보를 기재하는 테이블로 생각된다. 포렌식적인 큰 의미는 없어보인다.
그림 9. meta Table
5. origin Table
origin 테이블은 뒤에 설명할 playback 테이블 내 기록된 레코드 중에서 최신 정보(시간 값), 병합된 정보(미디어 시청 시간)이다.
그림 10. origin Table
빨간색으로 하이라이트 된 유튜브 데이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rigin
- 유튜브를 통해 시청한 많은 영상의 URL은 각각 다르지만 그 기준이 되는 Base URL(https://www.youtube.com)은 같다. origin 컬럼은 Base URL 개념과 같다고 보면 된다.
last_updated_time_s (e.g. 13248891473)
- Base URL이 같은 영상 중 가장 최근 시청했던(음악이라면 들었던) 시간을 의미한다.
- Safari(webkit), 구글 크롬 타임스탬프 포맷은 1601/1/1 00:00 UTC 기준으로 지나온 값을 microsecond로 사용하기에 해당 값을 적절히 변환하면 Human Readerable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림 11. 크롬 시간 변환 결과
(https://www.epochconverter.com/webkit)
aggregate_watchtime_audio_video_s (e.g. 21755)
- Base URL을 기준으로 총 재생한 미디어 시간을 의미한다. playback 테이블에서 기재된 재생시간을 모두 합친 값이라고 할 수 있다.
6. playback Table
playback 테이블부터는 의미 있는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유저가 실제 접근한 URL을 기록하고 시청 시간(초), 비디오/오디오의 유무,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청한 시간도 기록한다.
그림 12. playback Table
계산을 통해 실제로 시간이 맞는지 확인해 보자. 현재 빨간색으로 하이라이트 된 뉴스 영상의 시청 시간(watch_time_s)을 더하면 10초이다. 앞서 설명한 origin Table의 ‘aggregate_watchtime_audio_video_s’ 컬럼의 값을 보면 10으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7. playbackSession Table
playback 테이블이 URL 정보, 시청 시간 등 전반적인 데이터를 담고 있다면 playbackSession 테이블은 보다 상세한 정보를 기록한다.
그림 13. playbackSession Table
origin_id (e.g. 888)
origin_id는 origin 테이블의 기본키(id)와 연결되어 테이블의 관계를 식별할 수 있는 외래키이다.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위한 컬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URL (e.g. https://dfir.blog/~)
방문한 URL로 playback 테이블과 동일하게 남기는 값이다.
duration_ms (e.g. 2476101)
동영상의 총 재생시간(ms)을 의미한다. 밀리초 단위이므로 변환을 해보면 맞아 떨어진다.
- 2476101 ms ➔ 41.26835 minutes
0.26835 minutes ➔ 16.101 seconds (41분 16초)
그림 14. SANS DFIR Summit 2020 - Ryan Benson
(https://dfir.blog/unfurl-video-at-sans-dfir-summit-2020/)
position_ms (e.g. 1233110)
동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의미한다. 재생 위치를 기억하고 있다가 나중에 동일한 영상을 다시 재생할 때 유저가 마지막으로 본 위치에서부터 다시 재생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현재 동영상은 20:33초에서 정지되어 있고 DB에 기록된 값을 변환하면 일치한다.
- 1233110 ms ➔ 20분 33초
last_updated_time_s (e.g. 13248830334)
가장 최근에 미디어가 재생된 시간을 의미한다. 해당 값은 다른 테이블의 값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 origin Table(last_updated_time_s):
- 13248828711 (2020-11-03 07:11:51) - playback Table(last_updated_time_s):
- 13248828711 (2020-11-03 07:11:51) - playbackSession Table(last_updated_time_s):
- 13248830334 (2020-11-03 07:38:54)
실험에서 재생된 영상의 경우 약 27분의 차이가 났다. 차이가 왜 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해당 테이블은 동일한 URL에 대해 중복을 남기지 않고 기존의 레코드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다. 즉, 영상의 마지막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는 의미이다.
8. sessionImage Table
동영상 썸네일의 크기를 기록하는 테이블이다. ‘image_id’값으로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 모두 320x180 크기로 동일하였다.
그림 15. sessionImage Table
‘image_id’값을 통해 mediaImage Table의 ‘id’값을 매칭하면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다.
Wrap-up
지금까지 Chrome의 Media History에 대한 테이블과 일부 테스트를 통한 내부 저장된 컬럼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확인하였다.
SQLite 테이블에 저장되는 값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mediaImage: 동영상의 썸네일 URL (현재까지 유튜브만 확인됨)
- origin: 재생한 영상의 Base URL, 최근 시청 일시, Base URL 기준 통합 시청 시간
- playback: 영상의 Full URL, 시청 시간, 영상/음성 포함 여부, 최근 시청 일시
- playbackSession: 영상의 Full URL, 영상의 길이(ms), 현재 재생 위치(ms), 레코드 업데이트 시간, 영상 제목, 업로드 닉네임(유튜브), Base URL
- sessionImage: 영상 썸네일의 크기
다음 포스트에서는 몇 가지 케이스를 정하고 DB에 어떻게 기록되는지를 확인할 예정이다.
Reference
- https://chromereleases.googleblog.com/
- https://meterpreter.org/google-is-developing-the-media-history-feature-in-chrome/
- https://dfir.blog/media-history-database-added-to-chrome/
- https://source.chromium.org/chromium/chromium/src/+/master:chrome/browser/media/history/
- https://webdir.tistory.com/472
- https://www.epochconverter.com/webkit
- https://linuxsleuthing.blogspot.com/2011/06/decoding-google-chrome-timestamps-in.html
- https://stackoverrun.com/ko/q/1735671
- https://gs.statcounter.com/browser-market-share
Copyright (CC BY-NC)
본 게시글은 CC BY-NC Licence를 따릅니다.
비영리 목록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저작자와 출처를 표시하면 언제든지 게시글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